x번째 비트를 1로 SET
OR (|)를 사용.
value |= << x;
x번째 비트를 0으로 SET
AND (&)를 사용.
value &= ~(1<<x);
x번째 비트가 1이면 0, 0이면 1로 SET
XOR (^)를 사용.
value ^= 1 << x;
x번째 비트가 1이면 1을, 0이면 0을 리턴
AND (&)를 사용.
(value >> x ) & 1;
OR (|)를 사용.
value |= << x;
AND (&)를 사용.
value &= ~(1<<x);
XOR (^)를 사용.
value ^= 1 << x;
AND (&)를 사용.
(value >> x ) & 1;
윈도우에서 버추얼박스를 이용하여 우분투를 설치할 때 윈도우와 우분투 간의 파일을 공유하기 위한 공유 폴더 설정 방법입니다.
우선 윈도우에서 공유폴더를 생성 합니다.
저는 C:\Share 라고 만들었습니다.
VirtualBox에서 설정을 선택.
공유폴더탭에서 공유 추가 선택.
폴더 경로에서 기타를 선택하여 윈도우 공유폴더를 지정.
자동 마운트 체크 후 확인.
정상적으로 지정했다면 아래처럼 보일 것입니다. 그리고 확인!
여기까지 공유폴더 설정을 하고 버추얼박스에서 우분투를 실행 합니다.
그리고 메뉴 중에 '장치'에서 게스트 확장 CD 이미지 삽입 을 클릭해서 설치를 해주어야 합니다.
설치가 바로 되시는분들은 그냥 공유폴더를 사용하시면 됩니다.
제가 설치한 우분투는 자동 마운트 되어 아무 작업 없이 설치가 완료되어 공유폴더를 사용 할수 있게 되었지만,
기본적으로는 CD롬을 사용 할 수 있도록 Mount를 하셔야 합니다.
이제 부터 Mount 방법 입니다.
※ mount 폴더 생성
:$ mkdir tools
※ CD롬 마운트
:$ sudo mount /dev/cdrom ~/tools
※ 게스트 확장 설치 전 g++ 업데이트(업데이트가 안되어있을 경우 설치 fail)
:$ sudo apt-get update
:$ sudo apt-get install build-essential g++ make
※ 게스트 확장 설치
:$ cd tools
:$ sudo ./VBoxLinuxAdditions.run
설치 후 원하는 폴더에서 공유폴더 생성
※ 공유폴더 생성
:$ mkdir share
※ 공유폴더 마운트
:$ sudo mount -t vboxsf [VirtualBox에서 설정한 공유폴더 이름] [마운트할 폴더]
즉, sudo mount –t vboxsf share ~/share/
까지 하였다면 자유롭게 공유폴더에 접근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~!!